
생산공정 Lot 우선순위 결정 방법: 스코어 기반 vs 룰 기반 티어 방식
생산 현장에서 Lot(작업 단위)의 우선순위를 정해 설비에 할당하는 일은 생산성, 납기 준수, 비용 절감 등과 직결되는 중요한 업무입니다. 특히 납기(Due Date)와 셋업 최소화(Setup Minimization)는 서로 상충할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에, 이 두 가지를 균형 있게 고려하는 우선순위 설정 전략이 필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실제 제조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스코어 기반 우선순위 방식과 룰 기반 티어 방식을 소개합니다.
🔹 스코어 기반 우선순위 방식
스코어 기반 방식은 여러 요소를 수치화하고 가중치를 부여하여 Lot 별 우선순위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점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우선순위 점수 = (납기 임박 점수 × 0.7) + (셋업 동일 점수 × 0.3)
- 납기 임박 점수: 납기일이 가까울수록 높은 점수 부여 (예: 1일 이내 100점, 3일 이내 80점)
- 셋업 동일 점수: 현재 설비의 셋업 상태와 동일하면 높은 점수 부여 (예: 동일 시 100점, 다를 시 50점)
이 방식의 장점은 유연성과 확장성입니다. 납기, 셋업 시간, 품질 조건, 가동률 등 다양한 요소를 추가하여 복합적인 생산 환경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 스코어 방식의 장점
- 다양한 요소를 조합한 정교한 우선순위 설정 가능
- 자동화 및 최적화 시스템에 쉽게 적용 가능
- 실시간 점수 재계산을 통해 동적 대응 가능
🔹 룰 기반 티어 우선순위 방식
룰 기반 티어 방식은 특정 조건을 계층(Tier)으로 나누고, 상위 티어에 해당하는 Lot을 우선적으로 설비에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예시:
- 납기 1일 이내 + 셋업 동일 Lot
- 납기 3일 이내 + 셋업 동일 Lot
- 납기 1일 이내 + 셋업 변경 필요 Lot
- 기타 FIFO 순서
이 방식은 복잡한 수식 없이도 명확하게 우선순위를 구분할 수 있어 현장 작업자들이 이해하고 적용하기에 용이합니다.
✅ 룰 기반 방식의 장점
- 직관적이며 설명과 커뮤니케이션이 쉬움
- 특정 상황(긴급 오더, 재작업 등)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
- 시스템화 없이도 수작업 적용 가능
📌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 할까?
비교 항목 | 스코어 기반 방식 | 룰 기반 티어 방식 |
유연성 | 높음 (복합 요소 조합 가능) | 중간 (계층 설계 필요) |
적용 난이도 | 중~상 (로직 설계 필요) | 낮음 (단순 조건 매칭) |
현장 이해도 | 낮을 수 있음 | 높음 |
실시간 반응성 | 우수 (점수 재계산으로 대응 가능) | 제한적 (룰 우선순위 고정) |
복잡한 생산 스케줄링이나 자동화를 고려하는 경우에는 스코어 기반 방식이 적합하고, 현장 중심 운영이나 명확한 납기 대응이 필요한 경우에는 룰 기반 티어 방식이 유리합니다. 실제로는 이 두 가지 방식을 조합하여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운영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타민 종류 별 효능, 결핍·과다 증상 정리 (0) | 2025.04.03 |
---|---|
커피가 우울증 완화에 도움이 될까? 하루 몇 잔이 적절할까? (0) | 2025.04.02 |
싱크홀(Sinkhole)의 뜻과 발생 주요 원인 및 예방법 (1) | 2025.03.25 |
리드 타임(Lead Time)이란? (0) | 2025.03.21 |
시스템 구축 업무 기준 NDA(비밀유지협약) 체결 대상자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