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

물류 수량 단위 차이점과 선택 가이드 - EA vs PCS

반응형

 

EA vs PCS: 물류 수량 단위 차이점과 선택 가이드

물류에서 제품 수량을 나타낼 때 EA(Each)PCS(Pieces)라는 단위를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단위는 개별 제품을 세는 데 사용되지만, 사용되는 맥락이 다소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EA와 PCS의 차이점, 사용 예시, 그리고 어떤 경우에 어떤 단위를 선택해야 하는지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EA(Each)와 PCS(Pieces)란?

EA(Each)란?

  • 의미: "각각(Each)"을 뜻하며, 개별 단품(standalone product)을 셀 때 사용합니다.
  • 사용 분야: 일반 소비재(FMCG), 전자상거래, 의류, 가전제품 등.
  • 예시:
    • "이 신발은 1 EA 단위로 판매됩니다."
    • "이 TV는 1 EA 로 출고됩니다."

PCS(Pieces)란?

  • 의미: "조각(Pieces)"을 뜻하며,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이나 다량의 개별 항목을 셀 때 사용합니다.
  • 사용 분야: 제조업, 조립 제품, 부품, 원자재.
  • 예시:
    • "이 기계에는 볼트가 10 PCS 들어갑니다."
    • "이 세트에는 5 PCS의 부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EA vs. PCS: 차이점 비교

구분 EA (Each) PCS (Pieces)

각각의 개별 제품 개별 구성품 또는 조각
사용 맥락 완제품, 독립적인 상품 다량의 부품 또는 조립형 제품
사용 예시 신발, 가전제품, 생수, 스마트폰 나사, 볼트, 작은 부품, 세트 구성품
사용 빈도 전자상거래, 리테일, 일반 소비재 제조업, 원자재, 조립 제품

 

3. 어떤 단위를 선택해야 할까?

  • 독립적인 단품을 셀 때 → EA(Each) 사용
    • 예: 스마트폰, TV, 가구, 의류 등
  • 여러 개의 부품을 셀 때 → PCS(Pieces) 사용
    • 예: 나사, 볼트, 조립 제품, 세트 상품의 구성품 등
  • 혼용 가능하지만 EA가 일반적
    • 예: "1 EA = 1 PCS"처럼 동일한 의미로 쓰이는 경우도 있음

 

4. 글로벌 기준으로 EA vs PCS

국제적으로 보면 **PCS(Pieces)**가 더 널리 사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제조업과 조립 제품에서는 PCS가 기본 단위로 자리 잡고 있으며, 전자상거래에서는 EA가 흔히 사용됩니다.

💡 추천 가이드

  • 글로벌 표준을 따르고 싶다면 PCS 사용이 무난합니다.
  • 일반 리테일이나 소비자 대상 판매에서는 EA가 직관적입니다.
  • 회사의 물류 시스템에서 명확성을 위해 한 가지 기준을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5. 결론

물류 및 재고 관리를 할 때 EA(Each)와 PCS(Pieces)의 개념을 명확히 구분하면 혼선을 줄이고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합니다.

  • 단품(독립적인 제품) → EA
  • 부품(여러 개로 구성된 항목) → PCS
  • 글로벌 표준을 고려하면 PCS가 더 일반적

기업의 물류 전략에 따라 적절한 단위를 선택하고, 일관되게 사용하여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해 보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