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

순우리말 날짜 표현 정리: 하루부터 서른하루까지

반응형

순우리말 날짜 표현 정리: 하루부터 서른하루까지

우리말에는 숫자로 날짜를 표현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순우리말로도 날짜를 부르는 전통적인 표현이 있습니다. 하루, 이틀, 사흘처럼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단어들이지만, 10일 이후부터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1일부터 31일까지의 날짜를 순우리말로 표현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순우리말 날짜 표현 (1일~31일)

날짜  순우리말
1일 하루
2일 이틀
3일 사흘
4일 나흘
5일 닷새
6일 엿새
7일 이레
8일 여드레
9일 아흐레
10일 열흘
11일 열하루
12일 열이틀
13일 열사흘
14일 열나흘
15일 보름
16일 열엿새
17일 열이레
18일 열여드레
19일 열아흐레
20일 스무날
21일 스물하루
22일 스물이틀
23일 스물사흘
24일 스물나흘
25일 스물닷새
26일 스물엿새
27일 스물이레
28일 스물여드레
29일 스물아흐레
30일 서른날
31일 서른하루

순우리말 날짜 표현의 특징

  1.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발음
    • 하루, 이틀, 사흘, 나흘처럼 짧고 간결한 단어들이 많아 발음하기 쉽습니다.
    • 특히 보름(15일), 스무날(20일)은 일상에서도 자주 쓰입니다.
  2. 10일 이후부터 규칙적인 표현
    • 10일(열흘)부터는 "열-" + 하루, 이틀, 사흘..." 형태로 이어집니다.
    • 20일부터는 "스물-"을 붙여 사용합니다.
    • 30일은 "서른날", 31일은 "서른하루"라고 표현합니다.
  3. 보름과 스무날
    • "보름"은 음력 기준으로 15일을 뜻하며, 보름달과 관련이 깊습니다.
    • "스무날"은 20일을 의미하며, "스물하루, 스물이틀"로 확장됩니다.

순우리말 날짜 활용 예시

일상에서 사용하기
✔ "우리 여행까지 사흘 남았네!"
✔ "시험까지 닷새밖에 안 남았어!"
✔ "보름 동안 휴식을 취하자."

 

문학이나 시적인 표현
✔ "그대를 기다린 지 스무날이 지났다."
✔ "여드레 밤낮으로 비가 내렸다."
✔ "서른날의 기다림 끝에 만난 봄."

 

SNS나 감성적인 글에 활용
✔ "하루가 소중하다."
✔ "이레 동안의 도전, 나 자신과의 싸움."
✔ "보름 만에 다시 찾은 고향의 풍경."


순우리말 날짜를 사용하는 이유

우리말의 아름다움 살리기
숫자보다 감성적인 표현 가능
전통적인 언어문화 계승
문학적, 시적인 감성을 더할 수 있음


마무리

순우리말 날짜 표현은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름다운 우리말 중 하나입니다. 특히 사흘, 나흘, 보름, 스무날 같은 단어들은 시적이고 감성적인 표현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