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순우리말 날짜 표현 정리: 하루부터 서른하루까지
우리말에는 숫자로 날짜를 표현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순우리말로도 날짜를 부르는 전통적인 표현이 있습니다. 하루, 이틀, 사흘처럼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단어들이지만, 10일 이후부터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1일부터 31일까지의 날짜를 순우리말로 표현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순우리말 날짜 표현 (1일~31일)
날짜 | 순우리말 |
1일 | 하루 |
2일 | 이틀 |
3일 | 사흘 |
4일 | 나흘 |
5일 | 닷새 |
6일 | 엿새 |
7일 | 이레 |
8일 | 여드레 |
9일 | 아흐레 |
10일 | 열흘 |
11일 | 열하루 |
12일 | 열이틀 |
13일 | 열사흘 |
14일 | 열나흘 |
15일 | 보름 |
16일 | 열엿새 |
17일 | 열이레 |
18일 | 열여드레 |
19일 | 열아흐레 |
20일 | 스무날 |
21일 | 스물하루 |
22일 | 스물이틀 |
23일 | 스물사흘 |
24일 | 스물나흘 |
25일 | 스물닷새 |
26일 | 스물엿새 |
27일 | 스물이레 |
28일 | 스물여드레 |
29일 | 스물아흐레 |
30일 | 서른날 |
31일 | 서른하루 |
순우리말 날짜 표현의 특징
-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발음
- 하루, 이틀, 사흘, 나흘처럼 짧고 간결한 단어들이 많아 발음하기 쉽습니다.
- 특히 보름(15일), 스무날(20일)은 일상에서도 자주 쓰입니다.
- 10일 이후부터 규칙적인 표현
- 10일(열흘)부터는 "열-" + 하루, 이틀, 사흘..." 형태로 이어집니다.
- 20일부터는 "스물-"을 붙여 사용합니다.
- 30일은 "서른날", 31일은 "서른하루"라고 표현합니다.
- 보름과 스무날
- "보름"은 음력 기준으로 15일을 뜻하며, 보름달과 관련이 깊습니다.
- "스무날"은 20일을 의미하며, "스물하루, 스물이틀"로 확장됩니다.
순우리말 날짜 활용 예시
✅ 일상에서 사용하기
✔ "우리 여행까지 사흘 남았네!"
✔ "시험까지 닷새밖에 안 남았어!"
✔ "보름 동안 휴식을 취하자."
✅ 문학이나 시적인 표현
✔ "그대를 기다린 지 스무날이 지났다."
✔ "여드레 밤낮으로 비가 내렸다."
✔ "서른날의 기다림 끝에 만난 봄."
✅ SNS나 감성적인 글에 활용
✔ "하루가 소중하다."
✔ "이레 동안의 도전, 나 자신과의 싸움."
✔ "보름 만에 다시 찾은 고향의 풍경."
순우리말 날짜를 사용하는 이유
✔ 우리말의 아름다움 살리기
✔ 숫자보다 감성적인 표현 가능
✔ 전통적인 언어문화 계승
✔ 문학적, 시적인 감성을 더할 수 있음
마무리
순우리말 날짜 표현은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름다운 우리말 중 하나입니다. 특히 사흘, 나흘, 보름, 스무날 같은 단어들은 시적이고 감성적인 표현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S와 ERP의 의미와 차이점 정리 (0) | 2025.03.14 |
---|---|
소비자 심리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 이케아 효과, 선택의 역설, 밴드왜건 효과, 소유 효과, 문전 걸치기 (1) | 2025.03.10 |
400 Bad Request 오류 해결 방법 – 원인과 해결책 총정리 (0) | 2025.02.28 |
물류 수량 단위 차이점과 선택 가이드 - EA vs PCS (0) | 2025.02.21 |
사이클 타임과 리드 타임의 차이점: 생산 공정에서의 중요한 개념들 (0) | 2024.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