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V 고를 때 꼭 알아야 할 HDR 포맷 차이
Dolby Vision vs HDR10+ vs HDR10
TV를 고를 때 "Dolby Vision", "HDR10+", "HDR10" 같은 용어를 자주 보셨을 겁니다. 이 기술들은 모두 HDR(High Dynamic Range) 포맷으로, 영상의 밝기, 명암비, 색상 표현을 향상시켜 더욱 생생한 화질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각각의 포맷은 기능과 호환성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스트리밍 서비스를 자주 이용하는 분이라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입니다.
✅ HDR이란?
HDR(High Dynamic Range)는 영상의 밝은 부분은 더 밝게, 어두운 부분은 더 어둡게 표현해 주는 기술입니다. 덕분에 디테일이 살아있고 현실감 있는 영상이 가능하죠.
🔍 HDR 포맷별 차이
1. HDR10
- 기본 HDR 표준 (가장 널리 쓰임)
- Static Metadata 사용: 영상 전체에 동일한 밝기 정보 적용
- 10비트 색상 지원 (10억 개 색상 표현 가능)
- 모든 HDR 지원 TV의 기본 포맷
- 무료 오픈 표준
2. HDR10+
- HDR10의 업그레이드 버전
- Dynamic Metadata 사용: 장면마다 밝기와 색상 최적화
- 삼성과 아마존 주도로 개발
- 무료지만 일부 TV만 지원
- 유튜브,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등에서 주로 사용
3. Dolby Vision
- 가장 고급형 HDR 포맷
- Dynamic Metadata 사용
- 최대 12비트 색상 표현 (더 부드러운 색상 그라데이션)
- 넷플릭스, 디즈니+, 애플TV+ 등에서 주로 사용
- 라이선스가 필요한 유료 기술
- 모든 TV가 지원하는 건 아님
📺 스트리밍 서비스별 HDR 포맷 지원
스트리밍 서비스 | 지원 HDR 포맷 |
넷플릭스 | Dolby Vision, HDR10 |
디즈니+ | Dolby Vision, HDR10 |
애플 TV+ | Dolby Vision, HDR10 |
유튜브 | HDR10, HDR10+ |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 Dolby Vision, HDR10+ |
👉 스트리밍 서비스마다 지원하는 HDR 포맷이 다르기 때문에, 원하는 화질로 감상하려면 TV가 어떤 HDR 포맷을 지원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TV 구매 시 어떤 HDR 포맷을 선택해야 할까?
추천:
✔ Dolby Vision + HDR10+ 모두 지원하는 TV
이유: 대부분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최고 화질로 즐길 수 있음
예시: LG OLED, 삼성 Neo QLED 일부 모델, 소니 고급형 모델 등은 두 포맷을 동시에 지원합니다.
✨ 결론
TV를 고를 때 단순히 4K 해상도만 볼 것이 아니라, HDR 포맷 지원 여부도 함께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스트리밍 콘텐츠를 자주 즐긴다면 Dolby Vision과 HDR10+를 모두 지원하는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최고의 화질 경험을 보장합니다.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래픽 카드 성능 순위 정리 (0) | 2025.03.25 |
---|---|
403 Forbidden 오류 원인과 해결 방법 (0) | 2025.03.24 |
MLCC란 무엇인가? (0) | 2025.03.20 |
무한 루프(Infinite Loop)란? (0) | 2025.03.19 |
C# DataTable을 객체 리스트(List)로 변환하는 최적의 방법 (0) | 2025.03.17 |